"실업급여 받으면서 잠깐 알바하면 안 되는 거야?"
괜히 했다가 부정수급될까 걱정된다면, 이 글 하나로 명확하게 정리해드립니다.
✅ 실업급여 수급 중 소득활동, 가능한가요?
조건에 따라 가능합니다. 단기 아르바이트나 부업은 신고만 잘 하면 수급 유지 가능합니다. 중요한 것은 취업 의사가 있는 상태에서의 일시적 활동이라는 점입니다.
🧩 허용되는 알바/부업의 기준
구분 | 가능 여부 | 예시 | 비고 |
---|---|---|---|
단기 아르바이트 | 가능 (신고 필수) | 행사 보조, 단기 매장 근무 | 60시간/60만원 기준 초과 시 감액 |
주 15시간 미만 | 가능 (신고) | 주 2~3일 | 고용보험 가입 안 되는 수준 |
프리랜서/부업 | 조건부 가능 | 디자인, 배달 | 1회성 가능, 반복성 주의 |
사업자 등록된 부업 | 대체로 불가 | 쇼핑몰, 탈잉 | 정기적이면 ‘취업’ 간주 |
💡 핵심 기준 3가지
- 소득 수준: 월 60만 원 초과 시 감액 또는 지급정지
- 근무 시간: 주 15시간 이상이면 고용보험 대상 → 수급 중지
- 지속성: 반복적 활동은 구직의사 없다고 판단 가능
📌 반드시 해야 할 것: ‘근로내역 신고’
모든 소득활동은 실업인정일 전까지 반드시 신고해야 합니다.
항목 | 내용 |
---|---|
신고 방법 | 고용보험 홈페이지, 방문 또는 전화 |
신고 시기 | 활동한 다음 실업인정일 전까지 |
신고 항목 | 근무 날짜, 시간, 소득 |
미신고 시 | 부정수급 처리, 최대 5배 제재금 부과 |
🧑💼 실전 사례로 보는 수급 가능성
💼 사례 1: 주말 카페 알바
- 상황: 주말 5시간씩, 월 40시간 미만
- 결과: 신고 후 수급 유지 가능
- 주의: 월 급여 60만 원 초과 시 감액
💻 사례 2: 블로그 애드센스 수익
- 상황: 월간 수익 적음, 반복적 활동 아님
- 결과: 신고 시 수급 유지 가능
- 주의: 사업자 등록되면 자영업 간주
🛍️ 사례 3: 쿠팡플렉스
- 상황: 주 1~2회 비정기적 배송
- 결과: 신고 후 수급 가능
- 주의: 정기 소득이면 제한될 수 있음
❌ 실업급여 중단될 수 있는 경우
- 소득활동을 신고하지 않은 경우
- 근무 시간이 많아 고용보험 가입된 경우
- 구직 활동 없이 지속적 소득만 발생하는 경우
🔐 실업인정 받는 요령 (소득활동 병행 시)
- 워크넷 이력서 최신화
- 이력서 제출 or 면접 내역 캡처
- 근로내역 신고는 실업인정일 전에
- 구직 중임을 보여주는 설명 준비
✅ 결론
실업급여 수급 중 알바나 부업은 가능하지만, 신고와 시간·소득 기준을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숨기기보다는 정직하게 신고하고, 구직활동도 성실히 병행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