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vanest
궁금한 건 다루고, 필요한 건 모았습니다. 뉴스보다 빠르고 친구처럼 쉬운 정보 아카이브!

지분형 모기지 제도 분석 – 영국 실패 사례와 한국 정부의 대응 전략

지분형 모기지는 정부가 일부 주택 지분을 보유하는 공동소유 제도로, 영국의 Help to Buy 실패 사례를 참고해 한국형 제도가 나아갈 방향과 과제를 살펴봅니다. 제도 구조, 장단점, 심리적 반감, 대응 전략까지 종합 분석합니다.

 

지분형 모기지(shared equity mortgage)는 주택을 구매할 때 전체 비용을 혼자 부담하지 않고, 일부만 소유하고 나머지 지분은 정부나 공공기관이 보유하는 제도입니다.

쉽게 말해, “내가 집의 60%만 내고, 나머지 40%는 정부가 대신 사준다. 다만 그 지분만큼은 내 것이 아니다.” 라는 구조입니다.

이 제도는 집값 상승과 대출 규제라는 이중고 속에서 무주택자, 특히 청년층이나 신혼부부에게 내 집 마련의 기회를 주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정부는 LH(한국토지주택공사) 등을 통해 2023~2024년부터 시범사업을 추진해왔습니다.

지분형 모기지

왜 지분형 모기지가 등장했나?

최근 몇 년간 부동산 시장은 '금융 접근성'이 사라진 상황으로 바뀌었습니다. 집값은 빠르게 오르고, 금리도 올라 대출 자체가 어려워졌습니다. 여기에 DSR 규제가 더해지며 대출 한도는 줄고, 무주택자의 내 집 마련은 점점 더 멀어졌습니다.

정부는 이런 상황에서 다음 세대를 위한 해법으로 지분형 모기지를 제안한 것입니다. 개인이 전체 가격의 60~80%만 부담하고 나머지는 공공기관이 함께 소유하는 구조로, 실질적으로는 금융 부담 분담형 정책이라 할 수 있습니다.

주요 구조 및 방식

항목내용
대상 주택정부가 지정한 신축 공공주택 (3기 신도시 등)
공급 주체LH, SH 등 공공기관
지분 보유 구조개인 60~80%, 공공기관 20~40%
자금 조달 방식개인은 대출 또는 자기자금, 공공은 투자 형식으로 참여
매각 시 처리수익 및 손실을 지분 비율에 따라 공유
소유권 및 등기공동명의 등기 (개인 + 공공기관)

어떤 점이 유리할까?

  • 초기 비용 부담 완화 – 전체가 아닌 일부 지분만 부담하면 진입장벽이 낮아짐
  • 무주택자 중심 정책 – 생애최초 구입자, 청년, 신혼부부에게 우선 공급
  • 대출 규제 회피 가능성 – 본인 지분만큼만 대출을 받기 때문에 DSR 적용이 유리
  • 지분 환매 가능성 – 시간이 지나면 공공 지분을 되사와 100% 소유 전환 가능

주의할 점

  • 완전한 내 집이 아니다 – 공동 소유 구조이기 때문에 소유권과 처분권에 제약
  • 전매 제한 가능성 – 5~10년간 매각이 제한될 수 있음
  • 지분 수익도 공유 – 주택 가격이 오르더라도 상승분을 공공기관과 나눔
  • 대출 한도 영향 – 전체 대출은 DSR에 반영되어 추가 대출에 제약
지분형 모기지

영국의 실패 사례 – Help to Buy

영국은 2013년부터 'Help to Buy'라는 지분형 모기지 제도를 운영했습니다. 정부가 주택 지분 일부를 보유하고, 매각 시 수익을 공유하는 방식이었지만, 2023년을 끝으로 폐지되었습니다.

실패 이유

원인설명
집값 상승 부채질정부 자금 유입 → 수요 폭등 → 주택가격 더 오름
심리적 저항“내 집인데 왜 정부가 이익을 가져가나?”는 인식 확산
처분의 복잡함정부 승인, 정산 절차 등으로 매도 과정이 복잡함
형평성 논란일부 지역·계층에 혜택 집중 → 정책 불신 초래

한국형 지분형 모기지, 같은 길을 걷게 될까?

한국도 유사한 구조를 택하고 있습니다. 공공기관이 일정 지분을 보유하고, 매도 시 이익·손실을 공유하는 방식이지만, 국민 정서나 시장 반응은 여전히 회의적입니다.

우려되는 점

  • 심리적 소유권 충돌 – \"내가 산 집인데 손해까지 정부와 나눠야 하나?\"
  • 공동등기에 대한 불편 – 공공이 주인이라는 인식, 복잡한 매각 절차
  • 집값 정체기 리스크 – 상승장이 아닌 경우 실익이 적거나 손해 발생
  • 시장 왜곡 가능성 – 일부 단지만 지분형 공급 시 시세 혼선

그렇다면 왜 다시 추진하나?

정부는 이러한 리스크를 인지하면서도 현실적인 주택금융 대안으로 지분형 모기지를 재설계하고 있습니다.

mortgage

한국형 차별화 전략

항목내용
공급 대상 명확화청년·신혼부부·무주택자 중심, 형평성 보완
지분 구조 다양화30~50% 내 지분 선택 가능
환매 시스템 도입여건이 되면 공공 지분을 되사올 수 있음
계약 간소화디지털 등기 및 전자 계약 절차 추진

mortgage

결론 – 정책은 구조가 아니라 신뢰로 완성된다

지분형 모기지는 내 집 마련의 새로운 사다리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국민 정서와 제도 설계, 시장 현실이 조화를 이루지 못한다면 실패한 해외 사례를 되풀이할 수 있습니다.

“공공이 손을 내밀었지만, 국민이 손을 잡지 않으면 정책은 잉크로 남습니다.
제도의 성패는 금융 설계가 아니라 공동 신뢰를 얼마나 구축하느냐에 있습니다.”